이번주 일요일도 역시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열리는 서울사진축제 워크샵과 함께!
 
 오전강의는 윤우학 선생님의 <미술의 역사적 저변과 사상을 통해 살펴보는 현대미술>.
 '사상'이란 무엇일까? '현대'란 무엇일까? 당연하다고 생각되었던 것들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해서,
 고대/중세/근대를 관통하는 철학 사상과 미술의 변화를 살펴보는 강의였다.
 자연철학을 넘어 인간에 대한 주체적인 의문을 제시하고, 개념화를 주창한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를 넘어 영원성에 전착하여 이데아를 외친 플라톤,
 스승 플라톤을 넘어 이미 질료안에 이데아가 들어있음을 이야기 한 아리스토텔레스,
 유일한 일자에서 흘러넘쳐, 정신->혼->자연->물질로의 유출설을 주장한 플로티노스
 에수그리스도의 '믿음'을 거쳐..(요 대목에서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가 나와야 할 것 같았지만!)
 나+나를 외친 데카르트의 근대.....그리고 진선미의 칸트..현대.

 언제나 온몸을 던지시는 윤선생님의 강의에 정해진 시간이 30분이나 지났음에도, 모두들 즐겁고 진지하게 강의를 들을 수 있었다.

 늦어진 강의로 후다닥 점심을 먹고 이어진 오후 강의는 민병직 선생님의 <사진을 넘어서>.
 민병직 선생님은 굉장히 말이 빠르셨는데, 살짝 딴생각을 하고 있자면 이미 저만치 달려가고 있는 강의에 정신차리고 듣느라 진땀을^^;
 디지탈 이미지로 인해 가짜, 혹은 원본없는 카피가 진짜, 혹은 원본을 압도하는 오늘의 세계.
 시뮬라크르, 가상(virtual)과 실제(reality), 플라톤의 이데아의 닮음과 유사함에서, 푸코의 유사성과 상사성(차이가 중요)에  이르기까지.
 과거 미술이 재현을 넘어섰듯, 오늘날 사진도 재현을 넘어서고 있다는 이야기.
 큰 맥락으로 보자면, 지난번 최봉림 선생님의 강의의 연장선상에서 파악할 수 있는 내용일듯 하다.
 다만 상당히 복합적인 맥락에서 파악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에 있지 않은, 혹은 현실과 닮을 필요가 없는' 디지털 이미지들이
 사실은 진짜보다 더 진짜같은 이미지를 위해 오늘도 무한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는 것. 이는 피에르 레비의 
 "가상은 실제의 잠재태"라던가, 보들리야르의 '보부르효과'등으로 파악될 수 있을 듯 한데..잘 모르겠다^^;
 다만, 이 '가상'의 문제에 대해서-아마 영화 매트릭스가 정점이 아니었을까?-정보의 차원으로 화제를 바꾸면
 너무도 많은 담론이 있어온 까닭에, 더이상 디지털 이미지의 가상성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들긴 했다.(그자리에서 물어볼걸...왜 이제 생각이 나는거지!?)

 강의 내용으로 얻어지는 지식도 중요하지만, 선생님들이 던져주신 화두에 대해서 이런 저런 생각을 한번씩 해본다는 것도
 이런 워크샵이 주는 깨알같은 재미가 아닐까...^^

 다음주에는
 강수미 선생님의 <발터 벤야민의 미학에서의 기술과 예술>
 이영준 선생님의 <왜 설계도는 있어도 설계사진은 없을까> 가 이어진다...
 근데..다음주는 친구 결혼식이라 못듣는다..ㅠ_ㅠ 아..이영준 선생님 팬인데..ㅠ_ㅠ
 
Posted by 냐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