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 한달 전쯤 헌책방에서 구입했던 책. "눈빛"출판사 책이라면 일단 득템했다고 생각하고 모으는 중.

 

첫장을 넘겨 보이는 저자의 프로필이 심상치가 않다. 1955년출생에, 서울대 미대를 졸업해서, 파리8대학 조형예술학부(사진영상), 파리1대학 미학대학원(사진미학)을 전공했다고 하니, 지금쯤 한자리 하고 있을 법도 한 경력인데, 최근에야 사진에 관심을 갖기 시작한 나이긴 하지만, 도통 들어보지 못한 이름이고 해서, 찾아봤다.

 

 <유럽의 괴짜박물관(2009)>,

<유럽의 책마을을 가다(2008)>,

 <사진 속의 세상살이(2007)>

<앨범사진 1920-70(2007)>,

<이라크 견문록(2006)>,

<사랑의 이미지(2005)>,

......

 

학술활동보다는 세계 이곳 저곳으로 다니며 집필 활동을 하고 있는 것으로 보이는데, 책의 제목으로 봐서 전문적이기 보다는 대중적인 부분에 역점을 두는 듯 하다. 본 책 <사진 이미지의 안과 밖> 역시 전반적으로 대중의 눈높이에 맞춰진 느낌이 강하다.

 

서문에 적혀 있듯, <사진 이미지의 안과 밖>은 크게 4개의 파트로 구분되는데,

 

1부 - 사진이미지의 특성

2부 -  작가론

3부 - 대중적 이미지의 신화적 성격

4부 - 사진의 역사에 관련한 글

 

1부에서는 기념 사진에 대한 역사적 사회적 고찰, 사진을 둘러싼 여백의 의미, 그리고 사진에 담기는 도시적(아마도 현대 사진의 한 경향인 일상성의 맥락에서) 풍경에 대한 이야기 등을 풀고 있다.

 

2부에서는 성두경, 김기찬, 배병우, 전미숙, 앗제, 로베르 두아노, 신디셔먼, 매이플소프, 등의 작가론을 담고 있다.

 

3부에서는 비디오 촬영과, 텔레비젼 등의 동영상이 사진과 비교되는 대중적 속성을 살피고, 세간의 화제였던 플레이보이 모델 노랑나비 이승희를 화두로 누드 사진-예술의 대중적 신화를 이야기 한다. 그리고 미술시장의 논리와 사진의 속성인 복제가 빚는 아이러니에 대해 언급하고 있다.

 

4부에서는 조선총독부의 금강산 사진 및, 일반론적인 측면에서 사진예술의 역사를 개괄하고 있다.

 

앞서도 언급했듯, 글은 전반적으로 편하게 읽혔고, (물론, 편한 와중에서도, 나의 앎이 부족하기에 놓치는 부분이 꽤 있는 것 같아 안타깝기도 했다.) 편한 반면, 다소 루즈하게 느껴지는 부분들도 있었다. 이를테면 김기찬의 작가론에서 "물건의 세계에 위계질서가 있다면 아마 가장 밑바닥을 차지할 것들...(중략)...문득 인간의 세계에 쳐들어와 제자리를 찾겠다고 시위중인 것 같기도 하다."와 같이 감상적, 혹은 수필적인 문체가 자주 등장하는데, 읽는 입장에서는 글의 성격이 다소 혼란스럽게 느껴지기도 한다.(저자가 서두에 밝히고 있듯, 작가론은 "의뢰받은 글들"이기 때문일 수도 있다.)

 

 글을 읽으며 흥미로웠던 부분은, 책에 씌여진 1999년 당시의 사진의 문화와 기술(tech)적인 부분들이, 약 10년여가 지난 오늘날에 와서는 상당부분 변화가 생겼다는 점이다. 책에서는 사진의 득세에도 불구하고, 초상화가 서서히 세를 확장하고 있다고 언급되고 있지만, 현재 초상화는 딱히 세를 갖추지 못한 것 같고, 당시 센세이션이었던 노랑나비 이승희의 누드 화보는 너도나도 벗어대는 연예인 누드 화보 덕분에 더 이상 놀라운 것이 되지 못한다. 또한 본문에서도 언급되고 있지만, 기념 사진이 갖는 "시간의 죽음"에의 엄숙함은 오늘날 점점 사라지고 있는 것 같으며, 주사선과 도트로 구성된 제한된 해상도의 비디오, 텔레비전 영상, 그리고 그에 비교되는 은염결정체인 사진은 초고해상도의 HDTV와 디지털 카메라의 보편화로 인해 더이상 구분이 무의미한 지경에 이르렀다. 문득 책의 부제가 눈에 들어온다. "세기말에 쓰는 사진론". 세기가 바뀌고 10년이 지난 오늘의 변명일까.

 

Posted by 냐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