Peter F. Hamilton의 커먼웰스 연대기를 읽었다.
개략적인 설명은 아래 나무 위키 참조.
Commonwealth Saga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Space opera novel series by Peter F. Hamilton The Commonwealth Saga is a series of science fiction novels by British science fiction writer Peter F. Hamilton. This saga consists of the novels Pandora's Star (2004) and
en.wikipedia.org
웜홀의 발명을 통한 우주 식민지 건설과
기억 이식을 통한 생명연장이 가능해진 2300년 경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 책의 미덕은 미래 사회에 대한 묘사가 놀랍게도 디테일하다는 점이고,
그 묘시가 때로는 쓸데없이 장광설처럼 느껴지고,
독자를 지치게 만들정도이지만,
결국엔 결론을 향해 가는 빌드업이라는 점.
이를테면 책의 서두에 Hyper Glider라는 Far Away 행성에서만 즐길 수 있는
익스트림 스포츠에 대한 묘사를 무려 40여페이지에 할당하고 있는데,
결론부분에 그것이 다시 등장하여 이야기를 전개시키는 식이다.
책에 대한 기본 적인 정보를 살펴볼 때에 스페이스 오페라로 분류되어 있었는데,
1권이 끝날때까지도 웜홀을 이용한 철도 제국 건설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미래 사회상을 치밀하게 묘사한 하드 SF같은 느낌이었는데,
2권 말미에 이르러서 본격적으로 스페이스 오페라 다운 박진감을 선사한다.
책에서 그려지는 미래의 모습이 너무도 디테일하고
그럴듯해서 상당히 설득력을 지니는데, 예를들면
메모리 이식을 통한 생명 연장에 대한 부분과
그로 인한 사회의 변화도 다각도로 설명을 해 놓았다.
: 기본적으로 자신의 유전자를 복제한 개체에 메모리를 이식하여
삶을 연장하는 식인데, 60->20대로 회춘 할 경우 호르몬작용한 성적욕구 등은
신체 나이를 따라감.
: 60대에 이르러 회춘(Rejunvenation)을 위한 연금을 저축하는 것이 일반적임.
: 때문에 사람들에게 신체적 죽음은 오늘처럼 두려운 것이 아님.
그보다 메모리 칩(Crystal) 혹은 클라우드에서 끊겨서 기억을 잃어버리는 것이
더 두려운 일임.
: 결혼이라는 것이 평생에 걸친 일이 아닌 계약관계로 변화.
: 가족이 모이면 아빠보다 젊은 할아버지 등등.....
: 금고형 대신 Re-life 금지 혹은 중단 형이 존재함.
결말을 향해가며 장르의 특성상 다소 설득력이 부족한 부분이 느껴지긴 하는데,
인류의 과학기술이 예상을 뛰어넘는 잠재력을 갖고 있어서..
(물론 인류의 일원으로서 통쾌하긴 했다!)
끝판 빌런인 Starflyer가 급 너프 되어버려
이를 막으려는 Guardians of selfhood의 노력이 다소 무의미해보였고,
인류의 주요 적대 세력으로 등장하는 외계 종족 MorningLightMountain에게
굳이 다시 기회를 주려고 하는 범우주적 종족애는 공감하기 어려웠다.
(나는 종족의 이해를 넘어서 추구할 수 있는 가치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는편이다.)
다소 아쉬운 부분은 있지만 미래 사회에 대한 묘사만으로도
SF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강력히 추천할만한 책!
(개인적으로는 The Expanse랑 같이 놓고 싶다)
이 책의 더 이후를 다룬 Void 시리즈도 있는데..
사실 약간 인류 이후..혹은 초 인류적인 이야기가 되는 것 같아서..
살짝 고민 중..
'이것저것 > 읽은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Children of Time (Adrian Tchaikovsky) (0) | 2024.05.13 |
---|---|
타우 제로(Tau Zero) - 폴 앤더슨 (0) | 2024.05.13 |
The Expanse Vol. 1 - 9 (0) | 2024.05.13 |
The Giver(기억전달자) (0) | 2021.06.20 |
평등이라는 수수께끼. (0) | 2020.05.1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