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번주 일요일도 역시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열리는 서울사진축제 워크샵과 함께!
 
 오전강의는 윤우학 선생님의 <미술의 역사적 저변과 사상을 통해 살펴보는 현대미술>.
 '사상'이란 무엇일까? '현대'란 무엇일까? 당연하다고 생각되었던 것들에 대한 의문에서 시작해서,
 고대/중세/근대를 관통하는 철학 사상과 미술의 변화를 살펴보는 강의였다.
 자연철학을 넘어 인간에 대한 주체적인 의문을 제시하고, 개념화를 주창한 소크라테스,
 소크라테스를 넘어 영원성에 전착하여 이데아를 외친 플라톤,
 스승 플라톤을 넘어 이미 질료안에 이데아가 들어있음을 이야기 한 아리스토텔레스,
 유일한 일자에서 흘러넘쳐, 정신->혼->자연->물질로의 유출설을 주장한 플로티노스
 에수그리스도의 '믿음'을 거쳐..(요 대목에서 아우구스티누스와 토마스 아퀴나스가 나와야 할 것 같았지만!)
 나+나를 외친 데카르트의 근대.....그리고 진선미의 칸트..현대.

 언제나 온몸을 던지시는 윤선생님의 강의에 정해진 시간이 30분이나 지났음에도, 모두들 즐겁고 진지하게 강의를 들을 수 있었다.

 늦어진 강의로 후다닥 점심을 먹고 이어진 오후 강의는 민병직 선생님의 <사진을 넘어서>.
 민병직 선생님은 굉장히 말이 빠르셨는데, 살짝 딴생각을 하고 있자면 이미 저만치 달려가고 있는 강의에 정신차리고 듣느라 진땀을^^;
 디지탈 이미지로 인해 가짜, 혹은 원본없는 카피가 진짜, 혹은 원본을 압도하는 오늘의 세계.
 시뮬라크르, 가상(virtual)과 실제(reality), 플라톤의 이데아의 닮음과 유사함에서, 푸코의 유사성과 상사성(차이가 중요)에  이르기까지.
 과거 미술이 재현을 넘어섰듯, 오늘날 사진도 재현을 넘어서고 있다는 이야기.
 큰 맥락으로 보자면, 지난번 최봉림 선생님의 강의의 연장선상에서 파악할 수 있는 내용일듯 하다.
 다만 상당히 복합적인 맥락에서 파악될 수 밖에 없는 것이, '현실에 있지 않은, 혹은 현실과 닮을 필요가 없는' 디지털 이미지들이
 사실은 진짜보다 더 진짜같은 이미지를 위해 오늘도 무한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다는 것. 이는 피에르 레비의 
 "가상은 실제의 잠재태"라던가, 보들리야르의 '보부르효과'등으로 파악될 수 있을 듯 한데..잘 모르겠다^^;
 다만, 이 '가상'의 문제에 대해서-아마 영화 매트릭스가 정점이 아니었을까?-정보의 차원으로 화제를 바꾸면
 너무도 많은 담론이 있어온 까닭에, 더이상 디지털 이미지의 가상성에 대해 이야기 하는 것이 
 어떤 의미가 있을까 하는 생각도 들긴 했다.(그자리에서 물어볼걸...왜 이제 생각이 나는거지!?)

 강의 내용으로 얻어지는 지식도 중요하지만, 선생님들이 던져주신 화두에 대해서 이런 저런 생각을 한번씩 해본다는 것도
 이런 워크샵이 주는 깨알같은 재미가 아닐까...^^

 다음주에는
 강수미 선생님의 <발터 벤야민의 미학에서의 기술과 예술>
 이영준 선생님의 <왜 설계도는 있어도 설계사진은 없을까> 가 이어진다...
 근데..다음주는 친구 결혼식이라 못듣는다..ㅠ_ㅠ 아..이영준 선생님 팬인데..ㅠ_ㅠ
 
Posted by 냐궁
,

 지난주에 이어 이번주에도 서울시립미술관에서 서울사진축제 워크샵이 진행되었다.

오전 강의는 심재근 선생님의 <디지털 사진 프로세스의 이해>.

전반부 한시간 정도는 디지털 카메라의 역사에 대한 소개가 있었고,

후반부 한시간 정도는 디지털 이미지의 이론적인 부분- 픽셀, 색상, 압축방식, 포토샵 -에 대한 강의가 이어졌다.

강의를 듣는 개인들의 이해의 폭이 워낙 편차가 큰지라, 눈높이 맞추기가 힘드셨을 것 같다.



정동 극장 앞에서 왠지 '로컬'스러워보이는 식당에서 불고기 정식(\8,000)과 제육덮밥(\7,000)을 먹고..
가격대는 괜찮다고 생각했는데..음식들이 전반적으로 조금 짰다.....담번에는 먹을 곳을 좀 알아보고 가야지^^
(시청역 앞에 유림면은 지난주에 다녀왔음~)



그리고 오후 강의.
개인적으론 오늘의 메인 이벤트라고 생각하는 최봉림 선생님의 <디지털 사진예술의 한계와 성과>.

우선 '디지털 이미지"라는 것이 이제는 돌이킬 수 없는 흐름임을 분명히 하신뒤, 디지털 사진의 핵심 키워드로 "포토샵"이 언급되었다.
 그것을 통해 과거 은염 시절에는 "알지만 하지 못했던 것", 혹은 제리 율즈만처럼 "수십년 인생을 쏟아부어야 했던 것" 들이
"상상하면 누구나 이룰 수 있는 것"으로 바뀌게 되었다. 대표적인 작가가 제프 월.(강의는 제프 월의 사진으로 시작과 끝맺음을 했다.)

"이로 인해 사진은 무한한 상상력과 표현력을 얻게 되었지만, 사진이 담보하던 '진실성'은 잃을 수 밖에 없었다"
 는 것이 강의의 주된 내용.

아르노 라파엘 민키넨( Arno Rafael Minkkinen)(이 작가를 알게된 것이 오늘 강의의 굉장히 큰 소득!)은 본인 사진이
조작이 아니라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 - 그가 활동을 시작하던 6-70년대에는 굳이 설명할 필요가 없었던- 필름원본의
밀착인화와, 폴라로이드 사진을 제시하는가 하면, 제프 월은 자신의 디지털 창작작업의 고됨을 증명하기 위해
2년여의 작업을 다큐멘터리화해야만 했다. 이는 사진이 '진실성'을 잃으면서 벌어질 수 밖에 없는 촌극이라면 촌극이라는 것.



"디지털 이미지"에 대한 문제는 현재 진행형인 까닭에, 개인적으로는 많은 의문을 던져볼 수 있었는데...

- 사진 이미지의 '진실성'이 과연 '디지털'의 등장이전에는 있었는가?
  --> 물론 이미지는 그 자체로는 이야기해주는 것이 없기 때문에, 그 주변-이를테면 텍스트-에 의해 의미화 하지만,
        이미지 자체에 대한 진실성에 의문을 품게 된 것은 디지털의 등장 이후 본격화 되었다.

- 사진 이미지의 진실성에 대한 의심이 커가는 만큼, 위조되거나, 조작된 이미지를 판별하는 대중의 눈높이 또한 올라가지 않겠는가?
   또한 복수의 이미지를 일관되게, 혹은 동영상등을 모두 조작하는 것은 아직 쉽지 않은 만큼,
   그러하다면 사진 이미지의 진실성은 여전히 담보되지 않겠는가?
   --> 대중의 눈높이가 오르는 만큼 조작의 기술도 올라갈 것이다. 얼마전 북측이 공개한 김정일 합성사진 같은 것은,
        대한민국 국민의 눈높이를 너무 과소평가한 결과 아니겠는가.

그 자리에서 미처 묻지 못하고 머릿속으로 생각한 것들을 끄적여 보자면...
- 이미지의 생산수단의 민주화(?)라는 측면에서 디지털 이미지의 '진실성'은 과연..?
- 디지털 이미지의 조작 과정이 과연 그렇게 손쉽기만 한 것일까? 혹은 반대로 많은 작가들이 강조하는 것 만큼..장인적인 것일까?
- 최봉림 선생님의 전반적인 어조가, 왠지 '진솔함'이 사라져가는 세태에 대한 아쉬움처럼 느껴지기도 했다는...^^


다음주는 윤우학 선생님의 <미술의 역사적 저변과 사상을 살펴보는 현대미술>
민병직 선생님의 <사진을 넘어서> 강의가 이어진다. 집안일 때문에 못갈 줄 알았는데, 다행히 날짜가 미뤄져서
이번 수업도 들을 수 있을 것 같다~! 점점 흥미를 더해가는, 서울사진축제 워크샵..ㅎㅎ 다음주도 기대기대~

Posted by 냐궁
,


서울 사진 축제에서 진행하는 자그마치 '무료' + '누구나 들을 수 있는' 워크숍.
강사진은 우리나라 사진 이론에서 대표적인 분들은 모두 모이셨다고 할만큼 화려하다!

오늘은 박평종/박상우 선생님의 광학장치/감광물질의 역사에 대한 강의가 있었다.
사진의 기술사적인 부분이라 딱히 논쟁적인 맥락은 없었지만, 막연하게 알고 있던 사진의 기술 발달사를
조금 더 깊이 살펴보는 것도 좋은 경험이 된 것 같다.

다음주부터는 역사적인 부분을 넘어 좀 더 논쟁적인 이야기들이 펼쳐질 것 같다.
일단 최봉림/윤우학/이영준 선생님들은 언제나 기대를 갖게 하시는 분들이니까...








 


Posted by 냐궁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