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디선가 추천을 받았던 것 같은데, 어디서였는지 기억이 잘 나지 않는다.

문윤성 SF문학상 수상작이라는 단서가 붙어있는 표지.

1회 수상작이라는 <슈뢰딩거의 아이들>이 메시지 과잉으로

이야기가 증발하며 실망을 안겼던 기억이 있어 기대를 한수 접고 책을 시작했다.

 

만족은 기대에 반비례한다던가, 결론부터 보물같은 책을 발견했다.

 

소설은 '감정형 인공지능 설계사'인 주인공 '도하'로부터 시작한다.

주인공은 선천적인 충동조절 장애와 공감능력 부족으로 

타인과의 관계맺음에 있어 늘 남다른 생각을 안고 살아간다.

그는 우연히 인플루언서인 '릴리'를 도와주게 되고

 '릴리'의 연인인 '백해나'의 죽음과 엮이게 되며

사건의 내막을 찾아가는 서사로 진행된다.

 

이 책의 미덕을 정리하자면 아래와 같다. 

 

'그럴듯하다'.

인공지능을 소재로 했을때 빠지기 쉬운 인공지능에 대한 피상적 접근

(인공지능을 만능으로 묘사한다거나, 혹은 지나친 인격을 부여한다거나)

에서 벗어나 신경망이 작동하는 원리에 대한 기술적인 이해와

인공지능을 둘러싼 산업군에 대한 상세한 묘사가 곁들여져

소설속에 펼쳐진 근 미래의 모습을 거부감 없이 받아들이게 된다.

 

'보법이 다르다'.

극중에 등장하는 다큐멘터리나, 인공지능의 기록 영상을 묘사하는 방식이다.

글줄로 장면을 서사하는 것이 아니라 '극' 혹은 '대본'의 형태를 이용하여

영상물을 독자들의 눈 앞에 그려낸다.

이를테면   "(화면 전환되며 설계사무소의 정경이 나타난다.....단정한 하얀색 셔츠와 청바지)"

식이다. 산문을 넘어 영상으로 나아가겠다는 작가의 야심이 느껴졌달까.

 

그리고 무엇보다 '재미있다'.

소설 속에서 이야기는 플래시백과 순차진행을 거듭하며 

백해나의 죽음을 둘러싼 퍼즐 조각을 하나씩 맞춰간다.

사실 그것이 그렇게 거창한 결말이 아니거나, 혹은 예상 가능한 결말일지언정 

퍼즐조각이 하나씩 맞춰지는 형식적인 쾌감의 측면에서 상당한 수준을 보여준다.

등장인물들의 심리묘사, 주인공과 동생의 집착과 구속의 줄타기 또한

책에서 손을 놓을 수 없게 만드는 재미이다.

 

 타인과의 반응이 적절했는지 스스로 채점표를 작성하는 주인공 도하의 모습이

학습이 끝나고 손실함수를 계산하는 신경망 학습의 시퀀스와 닮은 것은 우연이

아닐 것이다. 과격한 상상에서 쾌감을 느끼는 주인공과 오히려 그를 책망하고 

벌주는 인공지능 '이모지 박사'의 역설은 작가가 이 책을 통해 우리에게

묻고 싶은 질문일테다. 

 

 

Posted by 냐궁
,

 

Peter F. Hamilton의 커먼웰스 연대기를 읽었다.

 

개략적인 설명은 아래 나무 위키 참조.

Commonwealth Saga - Wikipedia

 

Commonwealth Saga - Wikipedia

From Wikipedia, the free encyclopedia Space opera novel series by Peter F. Hamilton The Commonwealth Saga is a series of science fiction novels by British science fiction writer Peter F. Hamilton. This saga consists of the novels Pandora's Star (2004) and

en.wikipedia.org

 

웜홀의 발명을 통한 우주 식민지 건설과

기억 이식을 통한 생명연장이 가능해진 2300년 경의 이야기를 다루고 있다.

 

이 책의 미덕은 미래 사회에 대한 묘사가 놀랍게도 디테일하다는 점이고,

그 묘시가 때로는 쓸데없이 장광설처럼 느껴지고,

독자를 지치게 만들정도이지만,

결국엔 결론을 향해 가는 빌드업이라는 점.

 

이를테면 책의 서두에 Hyper Glider라는 Far Away 행성에서만 즐길 수 있는

익스트림 스포츠에 대한 묘사를 무려 40여페이지에 할당하고 있는데, 

결론부분에 그것이 다시 등장하여 이야기를 전개시키는 식이다.

 

책에 대한 기본 적인 정보를 살펴볼 때에 스페이스 오페라로 분류되어 있었는데,

1권이 끝날때까지도 웜홀을 이용한 철도 제국 건설이라는 점을 제외하고는

미래 사회상을 치밀하게 묘사한 하드 SF같은 느낌이었는데,

2권 말미에 이르러서 본격적으로 스페이스 오페라 다운 박진감을 선사한다.

 

책에서 그려지는 미래의 모습이 너무도 디테일하고

그럴듯해서 상당히 설득력을 지니는데, 예를들면

메모리 이식을 통한 생명 연장에 대한 부분과

그로 인한 사회의 변화도 다각도로 설명을 해 놓았다.

 

 : 기본적으로 자신의 유전자를 복제한 개체에 메모리를 이식하여 

   삶을 연장하는 식인데,    60->20대로 회춘 할 경우 호르몬작용한 성적욕구 등은

   신체 나이를 따라감.

 : 60대에 이르러 회춘(Rejunvenation)을 위한 연금을 저축하는 것이 일반적임.

 : 때문에 사람들에게 신체적 죽음은 오늘처럼 두려운 것이 아님.

   그보다 메모리 칩(Crystal) 혹은 클라우드에서 끊겨서 기억을 잃어버리는 것이

   더 두려운 일임.
  : 결혼이라는 것이 평생에 걸친 일이 아닌 계약관계로 변화.

  : 가족이 모이면 아빠보다 젊은 할아버지 등등.....

  : 금고형 대신 Re-life 금지 혹은 중단 형이 존재함.

 

결말을 향해가며 장르의 특성상 다소 설득력이 부족한 부분이 느껴지긴 하는데,

인류의 과학기술이 예상을 뛰어넘는 잠재력을 갖고 있어서..

(물론 인류의 일원으로서 통쾌하긴 했다!)

끝판 빌런인 Starflyer가 급 너프 되어버려

이를 막으려는 Guardians of selfhood의 노력이 다소 무의미해보였고,

인류의 주요 적대 세력으로 등장하는 외계 종족 MorningLightMountain에게

굳이 다시 기회를 주려고 하는 범우주적 종족애는 공감하기 어려웠다.

(나는 종족의 이해를 넘어서 추구할 수 있는 가치는 존재하지 않는다고 보는편이다.)

 

다소 아쉬운 부분은 있지만  미래 사회에 대한 묘사만으로도

SF를 좋아하는 사람이라면 강력히 추천할만한 책!

(개인적으로는 The Expanse랑 같이 놓고 싶다)

 

이 책의 더 이후를 다룬 Void 시리즈도 있는데.. 

사실 약간 인류 이후..혹은 초 인류적인 이야기가 되는 것 같아서..

살짝 고민 중..

 

 

 

 

 

'이것저것 > 읽은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개의 설계사>, 단요  (1) 2025.09.14
Children of Time (Adrian Tchaikovsky)  (0) 2024.05.13
타우 제로(Tau Zero) - 폴 앤더슨  (0) 2024.05.13
The Expanse Vol. 1 - 9  (0) 2024.05.13
The Giver(기억전달자)  (0) 2021.06.20
Posted by 냐궁
,

이왕 킨들이 생긴 거, 국내에 번역되지 않는 SF소설들을 찾아보기로 했다.

영어 책 읽기에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만큼, 이왕이면 휴고상이나 네뷸러 상을 받은

작품 위주로 알아보았다.

 

사실 <삼체>를 읽고 싶었지만, 국내 번역본이 있는 책들은 제외.

 

2022년 비교적 최근 휴고상을 수상한 Adrian Tchaikovsky의 Children of Time을 선택했다.

 

본 책으로 시작해서 Children of Ruin, Children of Memory 총 3권의 시리즈가 있는데,

결론부터 말하면 다음 책들을 읽고 싶은 생각이 딱히 들지는 않았다.

 

 간단히 줄거리를 소개하면, 광속에 가까운 우주 여행과 테라포밍이 가능해진

근 미래. Avrana kern 박사는 지구에서 수광년 떨어진 행성을 테라포밍하고

원숭이를 거주시켜 지적 생명체로 진화시키는 실험을 계획한다. 이는 언젠가

본격적으로 우주 식민지를 개척할때 해당 행성에 인류가 살 수 있는 기반시설을

다지고, 인류 과학기술의 우수성을 증명하기 위한 것.

 하지만 과학기술에 반대하는 극단주의자들의 사보타주로 kern의 계획은 수포로

돌아가고, 인류는 대 전쟁을 겪어 쇠퇴한다. Kern박사는 구조를기다리며 동면에 들어가고,

Kern박사의 테라포밍 시스템의 일부는  살아남아 해당 행성의 거미를 지적 생명체로 진화시킨다.

더이상 사람이 살 수 없게된 지구에서는 방주선(Ark ship)이 출발하여 과거 조상들이

테라포밍을 기획했던 행성들로 이주 여행을 떠난다.

 지적 생명체로 발달하는 거미들의 과정과 이주 여행을 하며 야만화되어가는 인간들의 모습,

그리고 마지막 두 문명의 충돌이 본 소설의 주된 내용.

 

 우선 거미가 주인공이다보니, 주인공들에 감정이입이 영 쉽지 않은 것이,

나는 여전히 내 종족을 벗어나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을 깨달았다. 중립적으로 둘을 

동등한 시각에서 바라보려고 머릿속을 환기시킴에도 불구하고, 

둘의 갈등이 빚어질 때면, 어느새 인류를 응원하고 있는 나를 발견하곤 했다.

작가의 의도는 분명 거미의 승리에 있음을 너무도 잘 알면서도, 

어쩔수 없는 종족의 굴레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나라는 존재가 꽤 불편하게 다가왔다.

 

다음 편은 문어가 주인공이라고 한다......

 

 

Posted by 냐궁
,